중구·남구

덤프버전 : (♥ 0)

||
파일:국회선거구 중구·남구.svg
선거인 수204,639명 (2024)
상위 행정구역대구광역시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중구 전역
동인동, 삼덕동, 대신동, 대봉1동, 대봉2동, 성내1동, 성내2동, 성내3동, 남산1동, 남산2동, 남산3동, 남산4동

남구 전역
이천동, 봉덕1동, 봉덕2동, 봉덕3동, 대명1동, 대명2동, 대명3동, 대명4동, 대명5동, 대명6동, 대명9동, 대명10동, 대명11동
신설년도2004년
이전 선거구중구, 남구
국회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김기웅




1. 개요[편집]


대구광역시의 도심 지역에 해당되는 선거구로 현재 국회의원은 국민의힘 김기웅 의원이다. 이 선거구는 대구의 번화가인 중구, 그리고 구시가지 내 주거지와 주한미군 부대(캠프 워커, 캠프 헨리, 캠프 조지) 등 군사지역[1]이 있는 남구로 이루어져 있다. 쉽게 말하자면 대구의 관광메카이자 미군부대 밀집지역인 원도심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이런 TK + 군사지역이 대부분인 지역 특성 + 원도심 지역 쓰리콤보로 인해 대구광역시 내에서 보수세가 강한 편이며, 제16대 대통령 선거에선 이회창 후보가 중구에서 80.42%, 남구에서 79.06%를 받으며 대구광역시 내부에서 TOP 1위,3위를 기록한 바 있으며[2], 제17대 대통령 선거에서도 이명박 후보가 중구에서 71.31%, 남구에서 69.11%를 받으며 TOP 2위, 4위를 차지하기도 했다.[3]

물론 그 이후 대구 서구에서 보수세가 더더욱 강해지면서 보수성향에선 콩라인이 되었긴 하나, 아직은 대구 내에서 보수세에선 TOP 3 안에 들어간다고 봐도 무방하다. 특히 남구의 경우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 서구에 이어서 홍준표 후보가 2번째로 높은 득표율을 얻은 곳이며, 득표율도 50%p를 넘었던 반면 문재인 후보는 겨우 20% 언저리를 받은 보수 강세 지역이다. 그나마 중구의 경우는 문재인 후보가 20%p 넘게 받았긴 하지만, 홍준표의 득표율이 인근의 수성구달서구에 비해 다소 높았다.

다만 중구의 경우 2020년 이후 재개발로 젊은층들이 조금씩 유입되면서 보수세가 예전보다는 약해지고 있다.[4] 현재도 중구와 남구 모두 곳곳의 오래된 주택가를 철거하고 신축아파트로 재개발 중[5]이라 장기적으로는 이전에 비해 더불어민주당, 진보 정당계의 지지세가 상승할 가능성이 있긴 하다. 실제로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선 두 지역 모두에서 이재명 후보가 20% 이상을 득표하면서 여전히 보수세에선 서구,수성구와 같이 TOP4 내에 들어가긴 했지만, 그래도 이전보단 비교적 민주당세가 높아지기도 했다.

다만 총선에 한해선 이 곳은 대경권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보수성이 약한 선거구로 손꼽히는데, 이는 다른 사례와 달리[6] 이 지역구에서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이래로 계속 활동하고 있는 이재용 덕분이다. 이재용은 과거 구미 페놀 사태 당시 시민 대표로써 활약하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무소속으로 남구청장에 당선되어 재선을 했으며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대구광역시장 후보로 출마해 40%에 육박하는 득표율을 얻고 남구에서는 심지어 한나라당 후보인 조해녕을 이기기까지 했다. 이후 노무현을 지지하며 열린우리당에서 활동하며 노무현 정부에서 환경부장관국민건강보험공단 이사장을 지냈다. 즉, 이재용 개인에 대한 지지율이 더불어민주당 지지율보다 더 높은 것이다.[7] 즉 다른 후보가 나온다면 서구 뺨칠 정도의 보수세가 나타날 수 있단 뜻이다. 실제로 2022년 3월 재보궐선거에서 백수범 후보가 비록 임병헌 후보와 불과 3% 차이로 석패했긴 하나[8] 19.41%만 받고 낙선한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하지만 22대 총선에선 26%가 나와서 이젠 대구 평균 정도의 보수 지지세가 나타난다고 봐도 무방해졌다.


2. 역대 국회의원 목록[편집]


총선당선인당적임기선거구
제17대곽성문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중구·남구
제18대배영식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제19대김희국
ta-hash-start=w-1d936dadf30010a96155a780553d5513[[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제20대곽상도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제21대
ta-hash-start=w-442465f5282183631234848d916ce365[[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2020년 5월 30일 ~ 2021년 11월 11일[9]
임병헌
무소속

[10]
2022년 3월 10일 ~ 2024년 5월 29일
제22대김기웅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024년 5월 30일 ~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3.1. 제17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중구·남구
대구 중구 일원[대구중구], 대구 남구 일원[대구남구]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곽성문(郭成文)78,226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63.06%당선
3이재용(李在庸)41,6212위

ta-hash-start=w-4efc9e02abdab6b6166251918570a307[[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33.55%낙선
4이수만(李守萬)6964위

ta-hash-start=w-048ee264bccbc824261a585c4b03fa6e[[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0.56%낙선
5신영섭(申永燮)3,4983위

ta-hash-start=w-68b6750f851a563726df638d91c73c5f[[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2.82%낙선
선거인 수212,536투표율
59.01%
투표 수125,425
무효표 수1,384


3.2. 제18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중구·남구
대구 중구 일원[대구중구], 대구 남구 일원[대구남구]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형룡(朴亨龍)3,0415위

ta-hash-start=w-ed47c903ad66558cbdb749e44bc89b1b[[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3.27%낙선
2배영식(裵英植)44,716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48.13%당선
3곽성문(郭成文)11,4303위

ta-hash-start=w-cc735352db842232a33b3d1edd26f8f6[[파일:자유선진당 흰색 로고타입.svg
12.30%낙선
4이인선(李仁善)[11]1,5056위

ta-hash-start=w-832353270aacb6e3322f493a66aaf5b9[[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1.62%낙선
6유정화(兪正花)1,4717위

ta-hash-start=w-05ad02e1ecb6957d5882cd13fb67ca75[[파일:평화통일가정당 흰색 로고타입.svg
1.58%낙선
7박헌경(朴憲璟)10,5904위

무소속

11.40%낙선
8이재용(李在庸)20,1512위

무소속

21.69%낙선
선거인 수211,644투표율
44.33%
투표 수93,822
무효표 수918


3.3. 제19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중구·남구
대구 중구 일원, 대구 남구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희국(金熙國)58,4251위

ta-hash-start=w-5f7f6d00ab4189a257d16c9e43b28523[[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56.87%당선
2김동열(金潼烈)8,8293위
8.59%낙선
3조병기(趙秉紀)9275위
0.90%낙선
5김태훈(金泰勳)7816위
0.76%낙선
6이재용(李在庸)27,4482위
27.61%낙선
7박영준(朴永俊)5,8094위
5.65%낙선
8김상인(金相仁)5087위
0.49%낙선
9배영식(裵英植)사퇴
선거인 수207,975투표율
50.12%
투표 수104,232
무효표 수1,505


3.4. 제20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중구·남구
대구 중구 일원[대구중구], 대구 남구 일원[대구남구]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곽상도(郭尙道)62,4831위
60.67%당선
2김동열(金潼烈)23,1882위
22.51%낙선
5최창진(崔暢陳)4,3064위
4.18%낙선
6김구(金九)1,7475위
1.69%낙선
7박창달(朴昌達)11,2563위
10.93%낙선
선거인 수209,601투표율
50.15%
투표 수105,135
무효표 수2,155
당시 현역 의원이었던 김희국친이, 친유 정치인이라는 이유로 컷오프를 당하고 달성군에서 활동하고 공천받으려고 했던 친박곽상도 후보는 추경호와의 경쟁을 피해 중구·남구로 공천을 신청하였다. 박근혜 정부국가정보원에 의뢰해서 친이, 친유 현역 의원이 있는 선거구에 여론조사를 실시하도록 했고, 이를 위해 국무회의도 연기하였다. 그러면서 유승민, 권은희, 류성걸, 조해진, 이종훈친유 인사들을 컷오프하기로 실시하였고, 김희국 역시 컷오프되었다. 김희국 후보는 무소속 출마까지 고려하다가 불출마를 선언하였다. 이 때 유승민, 김희국과 가까운 윤순영이 중구청장직을 수행하고 있어서, 곽상도와의 의견 대립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었다고 했지만 다행히도 그런 일은 없었다.

20대 총선 선거구 획정 과정에서 중구를 서구에 붙여 서구 갑과 중구·서구 을 선거구를 만들고 남구를 독립된 선거구로 만들자는 주장이 제기됐으나 실현되지는 않았다.[12]


3.5. 제21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중구·남구
대구 중구 일원[대구중구], 대구 남구 일원[대구남구]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재용(李在庸)39,7322위
31.01%낙선
2곽상도(郭尙道)86,4701위
67.49%당선
7정재홍(鄭載洪)1,9203위
1.49%낙선
선거인 수201,074투표율
64.62%
투표 수129,936
무효표 수1,814

21대 총선 대구 중구 개표 결과
정당더불어민주당미래통합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이재용곽상도
득표수
(득표율)
14,555
(32.67%)
29,420
(66.04%)
- 14,865
(▼33.37)
45,170
(66.65%)
동인동29.82%68.59%▼38.7759.09
삼덕동40.24%58.20%▼17.9659.58
성내1동35.83%62.67%▼26.8456.40
성내2동29.62%69.11%▼39.4961.19
성내3동32.80%65.79%▼32.9962.86
대신동30.78%68.02%▼37.2470.68
남산1동29.49%68.64%▼39.1563.36
남산2동27.55%70.93%▼43.3963.95
남산3동36.81%61.79%▼24.9867.39
남산4동30.66%68.50%▼37.8469.25
대봉1동27.89%71.22%▼43.3368.22
대봉2동27.10%71.71%▼44.6166.81
후보이재용곽상도격차
거소·선상투표28.77%66.90%▼38.13
관외사전투표42.84%56.00%▼13.16
재외투표60.46%39.53%△20.93

21대 총선 대구 남구 개표 결과
정당더불어민주당미래통합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이재용곽상도
득표수
(득표율)
25,177
(30.12%)
57,050
(68.26%)
- 31,873
(▼38.14)
84,766
(63.58%)
이천동30.88%68.00%▼37.1165.29
봉덕1동28.24%70.48%▼42.2460.86
봉덕2동25.09%73.88%▼48.7967.23
봉덕3동27.48%71.31%▼43.8360.42
대명1동30.38%67.60%▼37.2161.72
대명2동32.15%66.19%▼34.0461.51
대명3동28.49%69.82%▼41.3358.46
대명4동25.78%72.39%▼46.6160.76
대명5동32.58%65.58%▼33.0061.77
대명6동30.03%68.41%▼38.3760.50
대명9동31.62%66.56%▼34.9359.39
대명10동26.49%71.46%▼44.9760.43
대명11동23.24%74.91%▼51.6861.36
후보이재용곽상도격차
거소·선상투표40.28%52.60%▼12.32
관외사전투표43.66%54.53%▼10.87
재외투표64.00%34.66%△29.33
중구와 남구 지역에서 지역구 관리를 하던 이재용 후보와 재선을 도전한 곽상도 후보의 대결이다. 결과는 더블스코어 이상 차이로 곽상도 후보가 싱겁게 승리, 이로써 20대 총선보다 득표율이 더 높아졌다.

그래도 이재용 후보의 인지도가 높았기 때문에, 이재용 후보 개인은 17대 총선 다음으로 가장 높은 득표율을 얻는 소기의 성과를 거두었다. 대구 전체를 통틀어서 더불어민주당이 30% 이상의 득표율을 얻은 곳이 여기와 동구 을, 수성구 갑, 북구 을 외에는 없다. 다른 지역구들은 민주당 의원이 현역이거나 외지인 비율이 많은 곳들이다.


3.6. 2022년 3월 재보궐선거[편집]


중구·남구
대구 중구 일원[대구중구], 대구 남구 일원[대구남구]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백수범(白修凡)27,7743위
19.41%낙선
4권영현(權玲賢)30,8442위
21.56%낙선
5도태우(都泰佑)26,6634위
18.64%낙선
6주성영(朱盛英)17,1285위
11.97%낙선
7[[임병헌|{{{#373a3c,#ddd 임병헌}}}]](林炳憲)32,0371위
22.39%[13]당선
8도건우(都建佑)8,5826위
6.00%낙선
선거인 수195,472투표율
76.02%
투표 수148,606
무효표 수5,578

2022년 3월 재보궐선거 대구 중구 개표 결과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당무소속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백수범권영현도태우주성영임병헌도건우
득표수
(득표율)
10,666
(21.72%)
12,027
(24.49%)
9,751
(19.85%)
6,614
(13.47%)
6,723
(13.69%)
3,337
(6.79%)
- 1,361
(▼2.77)
51,043
(77.51%)
동인동19.06%25.60%22.28%13.57%12.40%7.09%△3.3270.50
삼덕동25.48%30.24%15.52%10.02%10.93%7.81%▼4.7670.76
성내1동23.69%25.27%17.95%10.04%16.02%7.04%▼1.5865.89
성내2동20.94%25.00%21.88%13.65%12.65%5.88%△3.1270.47
성내3동20.83%26.39%20.48%13.79%11.89%6.62%▼5.5677.94
대신동19.94%22.80%22.09%15.57%12.75%6.85%△0.7179.31
남산1동19.99%19.88%21.70%15.39%17.07%5.97%▼1.7172.78
남산2동22.10%23.58%19.25%13.19%14.35%7.54%▼1.4877.40
남산3동23.16%19.90%21.51%14.27%14.19%6.97%△1.6576.14
남산4동19.33%18.29%22.51%15.72%16.49%7.65%▼3.1879.72
대봉1동18.11%20.36%25.10%12.65%16.40%7.37%▼4.7478.02
대봉2동18.94%17.41%21.34%13.93%20.54%7.62%△0.8079.27
후보백수범권영현도태우주성영임병헌도건우격차
거소·선상투표18.56%30.93%15.46%18.56%9.28%7.22%△▼12.37
관외사전투표28.18%36.82%10.27%11.54%8.67%4.53%▼8.64

2022년 3월 재보궐선거 대구 남구 개표 결과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당무소속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백수범권영현도태우주성영임병헌도건우
득표수
(득표율)
17,108
(18.21%)
18,817
(20.03%)
16,912
(18.00%)
10,514
(11.19%)
25,314
(26.95%)
5,245
(5.58%)
- 6,497
(▼6.92)
97,563
(75.27%)
이천동17.49%14.79%20.52%10.87%30.38%5.95%▼9.8676.40
봉덕1동16.69%15.48%20.16%10.60%31.06%6.01%▼10.9071.39
봉덕2동15.43%15.15%19.68%10.38%32.65%6.72%▼12.9777.97
봉덕3동15.00%14.41%19.45%9.70%35.36%6.09%▼15.9170.95
대명1동17.98%19.77%17.80%11.49%27.60%5.35%▼7.8373.22
대명2동19.47%19.95%19.83%10.05%24.88%5.81%▼4.9373.24
대명3동18.14%18.92%19.45%10.87%27.41%5.20%▼7.9669.64
대명4동16.04%21.54%19.17%12.03%26.25%4.97%▼4.7173.22
대명5동18.68%19.68%18.99%9.41%27.98%5.26%▼8.3071.29
대명6동17.85%19.44%17.89%13.20%25.65%5.97%▼6.2172.49
대명9동19.46%18.20%18.74%10.46%27.20%5.94%▼7.7470.78
대명10동16.25%20.29%17.70%12.90%27.10%5.76%▼6.8173.22
대명11동14.23%22.36%15.44%17.07%25.79%5.11%▼3.4371.39
후보백수범권영현도태우주성영임병헌도건우격차
거소·선상투표26.52%25.41%13.26%11.60%17.68%5.53%△1.11
관외사전투표26.25%33.65%11.46%10.28%14.02%4.34%▼7.40
이 지역구에서 재선에 성공한 무소속[14] 곽상도 의원은 그의 아들이 화천대유에 취직하고 퇴직할 때 50억원씩의 퇴직금을 받는 비리에 휘말리게 되었다. 이로 인해 국회 차원에서 제명 논의가 오가던 도중 결국 곽상도 의원이 스스로 자진 사퇴 의사를 밝혔다. 실제로 2021년 11월 11일, 정식으로 사직안이 국회에서 의결되면서 2022년 3월 9일에 재보궐선거를 치르게 된다.

보수 극 강세 지역이었으나, 국민의힘 공관위가 재보선 책임이 자당에 있다는 점을 내세워 무공천을 결정하였다. # 물론 그렇다곤 해도 지역구 성향 상 보수 무소속 후보가 출마 후 당선될 확률이 크다. 그래도 21대 총선에서 더불어 민주당 득표율이 30% 이상 기록한 전례가 있어 이번 재보궐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이 득표율을 올리는데는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15] 실제로 후보 등록 결과 여당 민주당을 포함한 범진보진영에서는 백수범 후보만 출마한 가운데 보수정당 출신 무소속 후보가 무려 4명이나 난립한 상황(도태우, 임병헌, 주성영, 도건우)이 되었다. 국민의당에서 출마한 권영현 후보까지 합치면 야권 후보만 5명인 셈.

도건우 후보가 보수 후보 난립으로 인한 민주당의 어부지리 당선을 막겠다는 이유로 다른 후보들에게 범보수 후보 단일화를 제안했다.# 하지만 도태우 후보가 이에 부정적인 데다가 도건우 후보와 임병헌 후보가 단일화 '룰'을 놓고 갈등하고 있어 단일화 가능성이 낮아지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윤석열-안철수 단일화가 이뤄지면서 실질적인 야권단일후보로 권영현이 된 게 더더욱 악재다. 권영현은 윤석열과 악수를 나눈 뒤, 중구·남구의 유일 보수 후보, 국민의힘 정권교체를 위한 후보를 표방하고 있다. #

선거 결과 임병헌 후보가 승리하였으며, 국민의당 권영현 후보도 윤석열-안철수 단일화에 힘입어 선전했다. 두 후보가 초접전을 벌인 끝에 약 1%차로 임병헌이 신승을 거두었고, 임병헌의 지역기반이 남구여서 권영현 후보는 중구에서 큰 표를 얻었다. 선거전 막판 윤석열-안철수 단일화가 이루어지면서 '보수 단일 후보' 타이틀을 내세운 것이 상당한 도움이 된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 원내 지도부에서 탈당 무소속 후보자의 복당을 받지 않겠다고 했는데, 권영현 후보는 당선될 경우 국민의힘과의 합당을 통해 자연스럽게 국민의힘 의석에 보템이 될 수 있다는 차이가 있기도 했다. 이때문에 대구를 지역구에 둔 국민의힘 의원들이 뒤늦게 부랴부랴 권영현 지원유세에 합류했다. 어찌보면 해당지역 유권자들이 굉장히 전략적 투표를 한 것이라 해석할 수 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 백수범 후보는 보수표 분열과 TK 지역의 이재명 후보 선전 후광효과를 노렸으나 윤석열 후보의 압승과 더불어 많은 보수표가 친야(국민의힘) 무소속 후보인 임병헌과 국민의당 후보인 권영현에게 몰려 2위를 기록할 것이라는 세간의 예상을 뒤엎고 결국 3위로 낙선했다.[16] 또한, 도건우 후보를 제외한 전원이 득표율 10% 이상을 기록하며 후보 5명이 선거비용을 보전받는[17] 진풍경이 연출되었다.[18]

선거 이후 국민의힘 지도부는 약속을 파기하고 임병헌의 복당을 허용했다.


3.7. 제22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중구·남구
대구 중구 일원[대구중구], 대구 남구 일원[대구남구]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허소(許炤)[19]32,7832위
26.23%낙선
2김기웅(金基雄)72,3801위
57.91%당선
7도태우(都泰佑)19,8083위
15.85%낙선
선거인 수204,639투표율
62.12%
투표 수127,123
무효표 수2,152

22대 총선 대구 중구 개표 결과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무소속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허소김기웅도태우
득표수
(득표율)
14,401
(29.61%)
26,979
(55.47%)
7,249
(14.90%)
+12,578
(△25.86)
49,577
(63.19%)
동인동26.10%59.47%14.43%△33.3756.15
삼덕동33.83%50.77%15.40%△16.9452.41
대신동25.35%60.40%14.25%△35.0565.98
대봉1동24.98%56.39%18.63%△31.4162.79
대봉2동30.27%54.24%15.49%△23.9767.64
성내1동31.33%55.07%13.60%△23.7445.93
성내2동30.71%54.99%14.30%△24.2854.98
성내3동31.85%55.77%12.38%△23.9263.09
남산1동25.36%56.29%18.35%△30.9356.53
남산2동30.59%52.83%16.58%△22.2463.11
남산3동28.98%55.74%15.28%△26.7665.37
남산4동26.69%57.69%15.62%△31.0064.28
후보허소김기웅도태우격차
거소·선상투표24.47%62.77%12.76%△38.30
관외사전투표38.23%49.71%12.06%△11.48
국외부재자투표62.40%28.80%8.80%▼33.60

22대 총선 대구 남구 개표 결과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무소속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허소김기웅도태우
득표수
(득표율)
18,382
(24.07%)
45,401
(59.47%)
12,559
(16.45%)
+27,019
(△35.40)
77,546
(61.46%)
이천동25.19%57.67%17.14%△32.4864.22
봉덕1동20.12%62.07%17.81%△41.9557.49
봉덕2동22.21%58.31%19.47%△36.1064.76
봉덕3동20.22%61.47%18.31%△41.2557.13
대명1동22.23%60.93%16.84%△38.7058.16
대명2동28.43%53.87%17.70%△25.4458.85
대명3동22.05%63.70%14.25%△41.6555.02
대명4동19.19%66.54%14.27%△47.3559.37
대명5동25.34%54.65%20.01%△29.3157.08
대명6동24.41%58.69%16.90%△34.2858.72
대명9동24.90%59.02%16.08%△34.1255.90
대명10동19.70%67.26%13.04%△47.5658.95
대명11동17.01%68.60%14.39%△51.5958.53
후보허소김기웅도태우격차
거소·선상투표26.62%56.83%16.55%△30.21
관외사전투표37.08%48.70%14.22%△11.62
국외부재자투표65.44%23.53%11.03%▼41.91
국민의힘에서는 9명이 예비 후보로 등록했고 2024년 2월 18일 경선을 치르는 지역으로 결정되었다. 경선 끝에 현역 임병헌 전 의원을 누르고 도태우 변호사가 후보로 결정되었다. 그러나 공천 확정 이후 도태우 후보의 과거 발언[20]이 논란을 일으키면서 결국 2024년 3월 14일에 공천이 취소되었다.[21] # 2024년 3월 16일, 도태우 변호사는 공천 취소에 불복하고 무소속 출마를 선언했다. # 2024년 3월 17일 김기웅 전 통일부차관을 공천했다. #

더불어민주당에서는 허소 지역위원장이 홀로 2024년 2월 6일 예비 후보 등록을 하고 출마를 선언했다.[22] 그리고 단수 공천을 받았다.

예상대로 국민의힘 김기웅 후보가 넉넉한 격차로 이겼지만, 더불어민주당 허소 후보도 26.23%란 나름 나쁘지 않은 성과를 냈다. 여담으로 무소속 도태우 후보는 선거 보전선을 넘었다.


[1] 이 때문에 선거 때마다 후보들이 미군기지 이전과 관련한 공약들을 내세우기도 한다. # #[2] 2위는 바로 수성구였다. 참고로 믿겨지지 않지만, 당시 대구 서구에서의 이회창 후보의 득표율은 78.69%로 4위였다.[3] 1위는 바로 위에서 언급한 수성구였고, 3위는 역시 위에서 언급한 서구이다.[4] 사실 재개발과는 어느 정도 무관한 삼덕동에도 젊은 층들이 제법 거주하고 있어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중구가 아닌 남구에 기반을 둔 더불어민주당 이재용 후보가 40%의 득표율을 기록했다.[5] 보통 주택재개발로 신규 아파트 단지를 분양하면, 아무래도 원래 인구가 많은 달서구, 수성구 쪽의 주민들이 새로 유입되는 경향이 있다.[6] 동구-군위군 을,대구 북구 을, 달서구 을이 대표적인 예시다.[7] 이런 면에서 수성구 갑김부겸과 유사한 면을 보인다. 다만 김부겸의 경우는 김부겸 개인의 지지율도 없진 않지만, 지역이 보수세가 약한 것도 있다. 물론 20대 대선 이후엔 옛말이 되었지만.[8] 중구 남구에서 가장 적은 격차로 민주당계 후보가 패한 사례다. 참고로 이전 기록은 이재용 후보가 가지고 있는 17대 총선의 30%다.[9] 사직안 가결로 인해 의원직 상실.[10] 2022.6.13. 국민의힘 복당.[대구중구] A B C D E F 중구 동인동, 삼덕동, 대신동, 대봉1동, 대봉2동, 성내1동, 성내2동, 성내3동, 남산1동, 남산2동, 남산3동, 남산4동.[대구남구] A B C D E F 이천동, 봉덕1동, 봉덕2동, 봉덕3동, 대명1동, 대명2동, 대명3동, 대명4동, 대명5동, 대명6동, 대명9동, 대명10동, 대명11동.[11] 수성구 을에서 재선한 이인선과는 동명이인.[12] 사실 남구의 경우 인구가 감소하고 있는 지금도 21대 총선 선거구 인구 하한선을 넘어 독자적 선거구를 가질 수준은 되지만, 문제는 중구다.[13] 민주화 이후 역대 최저 득표율 국회의원 당선.[14] 이전 당적은 국민의힘이었지만 화천대유 논란이 커지자 2021년 9월 26일 자진 탈당했다.[15] 다만 민주당 역시 지역구에 자주 얼굴을 내밀어 주민들에게 친숙한 이재용 전 장관이 출마하지 않을 예정이다.[16] 그러나 소기의 성과(?)는 달성했는데, 남산3동에서 23.16%를 얻어 다른 후보들을 제치고 1등을 하였다. 물론 여러 무소속 후보 난립에 의해 일어난 일이기 때문에 그닥 놀랄 일은 아니다, 그리고 애초에 중구·남구 지역구에서 백수범 후보가 제일 많은 득표율을 얻어간 지역은 남산3동이 아니라 25.48%를 얻은 삼덕동. 그마저도 30%를 얻은 권영현 후보에게 밀려 2위였다.[17] 주성영 후보는 득표율 10%~15% 구간이므로 반액 보전[18] 다만 18대 총선에서 이인제가 당선되며 "어쨌거나 당선"이라는 짤방으로 유명했던 논산 계룡 금산 선거구의 선거 결과도 이와 비슷한 양상으로 나온 전례가 있다.[19] 더불어민주당, 진보당, 새진보연합 단일 후보.[20] 대표적으로 5.18. 민주화 운동 북한 개입설 주장 등이 있다.[21] 처음에는 두 차례에 걸쳐 대국민 사과문을 발표한 점 등을 고려해 공천 유지를 결정했지만 문재인 전 대통령에 대한 과거 발언으로 다시 논란이 일어서 공천이 취소되었다.[22]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달서구 을에 출마했다.